Kicad 회로도 라이브러리 그리기
Kicad 를 실행 시킨 후 나오는 화면 인데
적색 으로 표시된 곳을 보면 색이 흐릿 하다.
그렇다면 새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자.
메뉴에서 파일을 누르고 새파일 에 커서를 가져다 두면 프로젝트라는게 보일 것이다.
그 프로젝트를 누르면 어디에 저장할지 위치를 물어본다.
저장 하고 싶은 곳을 선택 하고 파일명 입력 하여 저장을 누르면 된다.
나는 Test 라고 지었다.
자 그러면 위의 적색 으로 표기된 부분의 색이 바뀌었다.?
뭔가 싶으면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 둬 보자.
그러면 간략한 설명이 나올 것이다.
첫번째 (좌측 부터)는 회로도 관련된거 같고, 두번째는 심벌 이라는 것 보니 회로도 심벌에 관련된거 같다. 세번째는 PCB 를 그리는데 쓰는거 같고, 네번째는 풋프린트 라는거 보니 PCB 그릴때 라이브러리에 관련된거 같다.
그러면 우선 회로도를 그려야 하고 회로도를 그릴려면 회로도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일단 두번째 아이콘을 눌러보자.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뭔가를 읽어들일 것이다.
화면이 나왔다.
왼쪽에 라이브러리 라고 쓰인 곳은 Kicad를 설치 하면 같이 설치되는 회로도 라이브러리 이다.
오른쪽 검정색 화면은 회로도 라이브러리를 그리거나 확인 할때 쓴다.
기본적으로 같이 설치되는 회로도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도 무방 하고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사용자의 선택이다.
나는 그냥 만들어 사용했다.
우선 라이브러리 그룹을 만들어야 한다.
라이브러리 아무데다 마우스 커서를 두고 오른쪽 키를 누르면
이런게 나오는데 뉴 라이브러리를 눌러 준다.
그러면 라이브러리 이름을 적으라고 나오는데 나는 그냥 뉴 라이브러리 로 했다.
사용자 입맛에 맞춰 입력 하길 바란다.
다음에는
적색으로 표시된 곳 또는 파일을 클릭한 뒤 나오는 뉴 라이브러리 를 눌러보자.
라이브러리 그룹을 선택 하게 한다.
여기서 새로 만든 뉴 라이브러리를 선택 한다.
창이 하나 뜬다.
심볼 이름과 부품의 U 넘버 그러니까 부품 이름과 부품의 넘버 Rn(R1,R2) 또는 Un(U1,U2) 같은 것들 처럼 어떤 걸로 번호를 시작할지 묻는 화면 같다.
나는 LED 를 그릴것이니 심볼 네임은 그냥 LED 로 할거고 시작 이름은 D로 할 것이다.
나머지? 뭔지 모르니 확인을 누르자.
하위에 LED 라는 이름의 심볼이 생성 됐다.
LED 옆에 별표는 저장을 하면 없어진다.
오른쪽 화면에 마우스를 가져가 보면 마우스 한번 이동 하는 거리가 꽤 긴거 같다.
그리드 라는 것 때문인데 기본이 아마 1.27mm 로 되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
마우스 오른쪽 키를 눌러보자.
그리드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보이는가?
그리드 라고 되어 있는 부분에 마우스 포인터를 가져가 보면
이렇게 나온다.
사용자 마다 다를 것이니 편한 값을 선택 하면 된다.
나는 25mils 을 주로 사용한다. (사람 마다 다르니 각자 취향에 맞춰 하길 바란다.)
원하는 그리드 값이 선택 하면 우측 하단에 선택된 그리드 값이 출력 된다.
자! LED 심벌을 그려 보자.
일단 중앙에 있는 글자가 걸리적 거려 치워야 하니 마우스 커서를 글자 아무데다 두고 키보드 에서 'M'을 눌러보자.
그러면 마우스를 따라서 글자가 같이 움직인다.
아! 화면 확대 축소는 마우스 휠을 움직여 보라..
구찮은 글자를 치우고 나서 다이오드 그림을 그려야 하니]
표시된 아이콘을 눌러보자.
그리고 중앙의 십자선이 있는데 그 십자선 기준으로 다이오드 모양을 그려보자.
한번 클릭하면 선이 꺽여서 따라오고 더블클릭을 하면 선이 끊긴다.
이걸 이용해서 그리면 된다.
다이오드 몸체와 광전효과? 표시도 그렸다. 위의 화살표는 그리드를 변경해서 그린것이다.
이제 남은 건 입력과 출력이 남았다.
표시된 곳을 클릭해 보자.
클릭하면 아무것도 않나온다. 하지만 당황하지 말고 화면의 (검정색 부분) 작도 하는곳 아무데나 클릭해보자.
요런게 나올것이다.
핀 이름과 핀 번호 등을 표기 하라고 하는데.
일단 복잡 하니 LED 입력 으로 1번 그리고 A 를 써보자.
그이외 다른 부분은 그림을 참고 하면 된다.
작성이 다 됐으면 확인을 누른뒤 알맞은 곳에 두고 클릭을 하면 된다.
그리고 출력도 필요하니 2번을 하나 더 만들도록 하자.
참고 사항으로 1번을 만들어 화면에 배치 시킨뒤 다시 화면을 클릭하면 위의 화면이 다시 나타난다.
이런식으로 나왔는데 보기 싫으니 원하는 위치에 옮기도록 한다.
위의에 언급한 대로 이동은 마우스 커서 를 대고 'M'을 누르면 되고,
회선은 동일하게 마우스 커서를 대고 'R'을 누르면 된다.
해보자.
했는데 번호랑 문자가 걸리적 거린다.
화면에서 작도하는 곳 아무데나 마우스 커서를 두고 더블클릭을 해보자.
이런게 나오는데 라디오박스? 에 체크 되어 있는 부분이 있다.
뭔가를 보여 주는 부분인거 같다.
둘다 체크 한걸 없애 보자.
그리고 확인을 눌러 보자.
구찮은 글자들이 없어 졌다.
이제 처음에 설정했던 D?? 와 LED 라고 적었던 부품 이름을 위치 시켜야 회로도에서 불러 왔는데 보기 편하니
치워놨던 글자들 위치를 조절해 보자.
이동은 'M' 이다.
그런데 글자가 큰거 같다. 그렇다면 글자에 커서를 대로 더블클릭을 한다.
그러면 글자 사이즈를 조절할수 있는 창이 뜨니 입맛대로 변경 하자.
이제 저장을 할 차례다.
파일의 저장을 누르면
옆에 * 표가 없어졌음을 볼수 있다.
사용자는 되도록 품명을 입력하는게 좋다. 그래야 나중에 헤깔리지 않는다.
잘못된 라이브러리가 생겼을 경우에는 지우고 싶은 품명에 커서를 대로 마우스 오른쪽 키를 누르면 삭제라고 나오는데
이 삭제를 누르면 해당 라이브러리는 없어진다.
실수 했을때 참고 하자.
표시된 둘중 아무거나 눌러보자.
그러면 회로도 그리는 화면이 나오는데
표시된 부분을 눌러 보자.
화면을 처음 띄워서 누르면 뭔가를 읽어 들일 것이고 두번쨰 이후로는 아무런 반응이 없다.
아무튼 클릭하면
이런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 저장했던 라이브러리 그룹을 찾을 수 있다.
그룹을 찾고 나서 그룹을 더블클릭하면 저장했던 라이브러리나 나온다. 그걸 더블클릭 해보자.
그럼 화면에 LED 라이브러리가 나와서 마우스 따라 움직일 것이다.
이 라이브러리를 화면상에 두고 싶은곳에 마우스를 가져가 클릭을 하면 된다.
회로도 그리는건 다음시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