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용방법???/Kicad

Kicad PCB 라이브러리 그리기

by 禪悟 2020. 9. 22.

자.. 이제 PCB 를 그리기 위해 필요한 PCB 라이브러리 (풋프린트 라고 하더군)를 만들어야 한다.

보통.. 일반적인 부품들은 프로그램 설치 할때 같이 설치 되니 그걸 찾아서 하면 되지만..

나는 정말 귀찮은거 아니면 그냥 만들어 쓴다..

만들어 사용하는 큰 이유는

첫째. 제품 조립(납땜 또는 SMT) 할때 Wave 라는 장비를 사용할 수도 있고 디핑(빵 집게로 PCB 잡은 후 납물에 담그는거) 또는 Reflow 라는 장비만 사용할 수도 있다.

Wave 장비를 사용할 경우 경험상 SMT (데이타 쉬트를 보면 풋프린트 도면이 있다) 풋프린트와 Wave 장비 풋프린트를 동일하게 사용하면 PAD 에 납이 없거나 납이 붙다가 말거나 하는 경우들이 심심치 않게 나왔었다..(지금은 좋아졌을까?? 모르겠다.)

 

이런 이유로 SMT 용 풋프린트와 Wave 용 풋프린트를 따로 관리 한다.. 더미 패드 라는 것도 만들어서 사용하고...

아무튼 LCD TV/모니터 용 SMPS 설계할때 특히 단면 PCB 로 할 경우 윗면 (Top) 에는 수삽 부품만 들어가고 바닥면 (Bottom) 에는 SMD 부품 들이 들어가서 Wave 방향도 고려 하고 Wave 작업시 IC Pin 들이 붙을 경우도 고려 해야 되고 수삽 부품중 점프선 이나 콘덴서류, 작은 인덕터, 색띠 저항 등 다리가 긴 것들을 수삽할때 자리 꺽는 방향도 지시해 줘야 해서.. 아무튼 골떄린 것들이 많아 Wave 작업용 PAD 는 따로 관리 한다.

 

이런 것들은 아마 회사 마다 관리 하는게 다를테니..  여기서는 다루지 않고 SMD 부품중에 현재 하고 있는 LED 만 하도록 하겠다.

 

오류 수정 : SMT 쪽은 리플러 , 수삽(리드 부품) 자동 납땜기는 웨이브 이다. 잘못 적었다..   @.@

 

표시 된걸 눌러 보자.

그러면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뭔가를 불러올 것이다. (시간이 좀 걸릴수도 있다.)

 

화면이 나왔다.

 

라이브러리 라고 되어 있는 부분에 마우스 커서를 두고 오른쪽 키를 눌러 보자.

 

뉴 라이브러리가 있다. 눌러 보자.

 

어디에 저장할지 물어보는데 적당한 곳에 저장을 하자..

나중에 라이브러리가 많아지면 따로 관리를 해야 할 수도 있으니 별도의 폴더를 만들어서 관리하는 것도 괜찮을듯 하다.

 

라이브러리를 이번 프로젝트에만 적용할지 아니면 전체에 적용할지 물어보는거 같은데 이건 사용자가 알아서 하길..

나는 전체 적용을 누르겠다. 확인!

 

Test 라는 라이브러리 그룹이 생겼다.

이제 LED 그림을 그려야 한다.

이제 그려야할 LED 데이터 쉬트를 열어 보자.

 

데이터 쉬트를 뒤지다 보면

 

이렇게 제품 사이즈가 나온게 있고 적용 PAD 크기가 나온게 있는데.

이건 중국 꺼라....

일단 기본적인 사이즈가 나왔으니 그려보자.

 

표시된 곳을 누르면 뉴 풋프린트 라고 나오는데

 

적용할 이름을 적으라고 나온다.

나의 경우 해당 부품의 전체 이름(풀네임)을 적는다.

이유는? PCB 라이브러리의 경우 비슷한 제품들이 많은데 특히 동일한 사이즈(크기) 에서 극성이 반대로 된 것들도 있고 해서 회로도 에도 보통 오더링 코드 라고 되어 있는걸 적어 두는데..

 

사람 마다 다를수 있으니 적당히 이름을 쓰자.

 

그냥 Test-LED 라고 적겠다.

이건 보시는 분들은 저처럼 그냥 대충 적지 말고 되도록 부품 풀 네임을 적길 권장한다.

 

확인을 누르자.

 

뭔가 떳다..

Test-LED 는 내가 적은 부품 이름일 것이고 REF** 는 아마도 D1, D2 등이 들어가는 곳 일거 같다.

 

십자선 중심으로 그리는걸 추천 한다.

왜냐하면 부품을 불러왔을때 저 십자선 중앙이 마우스 커서 위치가 되는 위치 라서 퍼런색 (화면 색은 옵션에서 변경 가능하다. 나는 흰색으로 하면 눈이 아파서 배경을 검정으로 했다...) 중심에서 많이 벗어나면 부품을 불러 왔을때 마우스 커서 에서 멀리 떨어진 채로 불러올 것이다.

 

저 글자 들이 눈에 거슬리니 다른곳으로 치우고 (단축키 'M') 부품 외각선을 그려보자.

 

표시된 곳을 누르면 선을 그릴수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건 (아마도 누군가가 가르쳐 주었을까????) 기준을 정해야 한다.

부품을 그릴때 위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그릴 것인지 아니면 바닥면 에서 부품을 보는 방향으로 그릴것인지를 정해야 한다.

 

이게 왜 중요하냐면 하나는 Top 기준으로 그리고 다른 하나는 Bottom 기준으로 그리면 화면에 다른 색으로 표시가 되길 하겠지만 많이 헤깔리더군.

 

이게 왜 여기 비아가 뚤리지?? 뭐 이런거??

나 같은 경우 이런적이 있어서 모든 PCB 풋프린트는 Top 기준으로 그린다. (나의 경우는.... 다른 분들은 물어보지 않아서 모르겠다.)

 

자... 사이즈가 3.5 X 2.8 이니 그려 보자.

 

화면상에서 거리(사이즈) 를 어떻게 알까..

 

표시된 곳을 보면 마우스를 흔들어 보면 숫자가 바뀌는걸 알수 있다.

그렇다면 저걸 0으로 해 두면 그리기 편하겠지...

적당한 곳에 마우스 커서를 두고 스페이스바를 눌러 보자.

 

스크린 샷 을 할때 마우스가 약간 흔들렸는데.. 0으로 변경되는게 보이는가?

저 기준으로 그러보도록 하자.. 기본단위는 mm 이니.. 3.5 에 2.8 을 그려 보자.

 

스페이스바를 열심히 두둘기면서 그리면 된다.

 

다 그렸는데 십자선에서 벗어나 있다.

십자선 중앙으로 옮겨 보자..

 

센터 를 보기 위해 센터 선을 그려 이동 (단축키 'M') 을 시켜도 되지만 구찮으면

 

표시된 부분을 눌러서 센터에 클릭해 보자,.

그러면 십자선 위치가 바뀐다.

 

선도 두꺼운거 같고 Top 인지  Bot 인지도 확인할겸 방금 그린 선을 더블클릭 한다. (또는 단축기 'E')

 

뭔가 나왔다. 스타트 포인트.. 어쩌구 저쩌구.. 아마 네모칸에 대한 위치 인거 같다. (센터 기준)

그리고 오른쪽에는 현재 선택된 선의 레이어가 어디인지 알려 준다. F.SilkS 라고 되어 있다. (Top Silk 를 말한다.)

위에는 0.12 로 되어 있는데. 선을 굵기 이다.

 

일단 Top 기준으로 그리는 거니 레이어는 상관 없고 선 굵기는 사용자가 맘에 드는 굵기로 바꾸면 되지만

실제로 PCB 를 만들경우 저 선이 굵으면 PCB 실크도 굵다는건 잊지 말자.

 

센터 위치를 보기 위해 만든 선은 지우고..(위치를 잡았으니 필요 없으니까)

 

이제 PAD 를 만들어 보자.

 

표시된 곳을 보면 Add PAD 라고 나올 것이다.. 눌러 보자.

 

동그라미 가 나왔다...이게 기본값이라서 어쩔수 없다.

변경 하려면 일단 아무 곳이나 위치 시키면 2번 이라고 또 하나가 나오는데 ESC 를 눌러 주자.


저 PAD 를 더블 클릭 (또는 단축키 'E' -앞으로 수정이라고 하겠다-) 하면

 

속성이 튀어 나온다.

우리는 LED PAD 를 만들것이므로

 

SMD 를 선택

 

사각형으로 할꺼니까..

 

사이즈 X , 사이즈 Y 는 만들 PAD 의 크기를 말한다. 데이터 쉬트에는 2.03 에 2.1 로 되어 있는데 1:1 로 그리고 싶으면 그냥 2.03 에 2.1 로 해도 된다.. 나는 0.1mm 만 키우 도록 하겠다. (난 1:1은 싫어해서)

 

그리고 오른쪽을 보면 F.Cu 라고 되어 있다.. (그냥 Top면)

적용할 레이어를 선택 하게 되어 있는데 페이스트와 마스크만 선택 했다. B.Mask 이런식으로 B.xxxx 은 바닥면 이다.

까먹지 말자.

 

그러면 PAD 가 변경 되어 있다. PAD 하나더 만들어야 하니 Add pad 를 다시 누르자.

그러면 방금 수정한 PAD 크기로 변경 되어 나오는걸 볼수 있다,

PAD 가 2개만 필요하니 2개만 위치 시킨다.

 

이제 2번 PAD 크기와 두개의 패드 위치를 변경 해야 한다.

2번 패드 크기수정은 처음 동그란거 수정하는 것과 동일 하다.

수정해 보자.

 

2번 패드 크기 수정 했고.

네모칸 (실크라고 하겠다) 실크가 센터에 있으니 퍼런색 십자 모양이 보일 것이다.

이제 만들어둔 패드를 이동 시켜 (센터 기준 으로) 중간에 0.5mm 남 남게 해 보자.

 

그리드를 상황에 맞게 변경 하고 스페이스바를 이용한 거리측정으로 0.5mm 가 나오는걸 확인 했다.

그러면 양쪽에 튀어 가나는 부분도 확인해 보자.

 

양쪽이 0.06 되는걸 확인 했다. 그럼 맞는 거 겠지..

간단 한거는 이런식으로 해도 되지만 좀더 정확하게 하려고 한다면 2D용 CAD 를 이용하면 된다.

CAD 를 이용해서 위치 확인 하는 방법들은 다른 블로그 에 널려 있을거 같으니.. 여기서는 생략 한다.

 

일단 그리긴 했는데 극성 표시를 해줘야 작업자가 헤깔리지 않는다.

보통 다이오드 들은 캐소드 쪽에 표시를 해 두니.. 나는.. 크기가 작으니 옆에 다이오드 표시를 하겠다.

쩜을 찍어도 되고 선을 그어도 되고.. 작성자가 맘에 드는 걸로 하자. 단. 작업자가 볼수 있어야 한다.

 

이제 부품 이름과 REF 위치를 바꿔 보자.

 

Test-LED 를 수정 하면

 

이런게 나오는데 표시된 부분은 PCB 설계 화면에 저 글자를 보여줄지 않보여 줄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보고 싶으면 체크, 보기 싫으면 해제 하면 된다. PCB 실크로 인식하진 않는다.

 

REF 도 동일하게 확인해 보고..

 

수정 할게 있으면 수정해 주면 된다.

텍스트 사이즈가 맘에 않드면 이 수정 화면에서 변경해 주면 된다.

 

이제 다 그렸으니 저장을 하자.

 

저걸 누르면

 

어느 그룹에 저장할지 물어보는데 Test 라는 그룹애 저장을 할것이다.

이 문서를 참고 하시는 분들은 본인이 만든 그룹에 저장하면 된다.

이 문서는 참고용 이니깐...

 

저장을 누르면

 

Test 그룹에 Test-LED 라는 부품이 생성 됐다.

 

PCB 설계 화면에 잘 출력 되는 걸 확인 했다.

 

이걸로 PCB 라이브러리 (풋프린트) 그리기를 마친다.

 

다음 시간은 PCB 그리기 이며, 라이브러리 를 다시 그리는건 생략 할 것이다.

 

그럼 다음 시간에..

'사용방법??? > Kic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cad - BOM 만들기  (0) 2020.10.29
Kicad PCB 그리기  (0) 2020.09.24
Kicad 회로도 그리기  (0) 2020.09.16
Kicad 회로도 라이브러리 그리기  (2) 2020.09.15
Kicad 설치 방법  (0) 20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