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용방법???/Kicad

Kicad PCB 그리기

by 禪悟 2020. 9. 24.

전 시간에 PCB 라이브러리 그리기를 하였으니

이번 시간에는 PCB 그리기를 하도록 하자.

 

표시된 부분 둘중 하나를 더블클릭 해보자.

오른쪽 아이콘은 한번만 클릭 하면 되고 왼쪽에 Test.Kicad_pcb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은 더블클릭을 해야 한다.

내키는 대로 하자.

 

그리기 화면이 나왔다.

PCB 그리는 화면이 나오는 걸 확인했으니 내비두고 (먼저 PCB 화면을 띄워둘 필요는 없다.)

 

회로도를 열어 보자.

회로도 열어 보는 방법은 전 시간을 참조 하자.

 

회로도 화면이 뜨면 일단 그려둔 회로쪽을 확대 해야 한다.

(마우스 휠을 누른 상태로 마우스를 움직여 보면 회로도 화면이 이동을 하고, 휠 버튼 누른 걸 떼고 휠을 움직여 보면 확대/축소가 됨을 알수 있다.)

 

그려둔 회로를 확대 하여 작업하기 좋게 만들어 보자.

 

확대를 시켰다.

 

여기서 지정을 해 줘야 하는 부분이 LED 풋프린트 와 PAD 라고 되어 있는 심볼에 대한 풋프린트를 지정해 줘야 한다.

LED 심볼을 수정해 보자. (수정하는 방법 또한 전 시간에 나와 있다 -단축키 'E' 또는 더블클릭)

 

이런 화면이 뜰텐데 여기서 표시된 부분을 보면 오늘쪽에 아이콘이 있다.

뭘까?? 눌러 본다.

 

전에 그려뒀던 LED 풋프린트를 찾는 화면 이다.

적용해야 할 풋프린트 를 더블 클릭 한다.

 

풋프린트 이름이 입력 되었음을 알수 있다.

 

show 라는 부분이 있는데 화면에 해당 값을 보여 줄지를 선택 하는 부분이다. 편한대로 하자.

나는 선택을 한다.. 부품이 한개라면 몰라도 여러개 라면 뭐가 뭔지 알수 없으니까..

 

동일한 방법으로 PAD 에 대응할 풋프린트를 만들어서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풋프린트를 입력해 주자.

 

 

입력을 완료 했다.

 

부품이 -심볼이- 몇개 없으면 이런 식으로 하나씩 선택해서 적용해도 괜찮지만 부품이 여러개 라면 정말 귀찮은 일이다.

이럴때는...

 

무당벌레? 옆에 있는 아이콘을 눌러주자.

 

이런 화면이 뜬다.

 

가장 좌측에 있는 부분은 그룹 이름 이다.

저딴식으로 해둔 이유는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라이브러리 그룹과 섞이지 않게 하기 위해 분리 한 것이다.

중간에 칸은 감이 오는가? 회로도 에 있는 심볼이름 과 대응되는 풋프린트를 나타낸다.

가장 우측에 있는 칸은 좌측 그룹을 클릭 하면 그 클릭된 그룹안에 있는 풋프린트 내용이 나오는 형태 이다.

 

2번을 눌러서 심볼을 누르고 1번 라인 에서 해당 풋프린트가 입력된 그룹을 선택 하고 3번 라인 에서 대응되는 풋프린트를 더블클릭 하면 2번 에 해당 풋프린트 이름이 입력 되는 걸 볼수 있다.

동일 계열 (저항.. 콘덴서.. 등등) 의 풋프린트들은 1번을 누를때 하나 눌러 보고 쉬프트 키를 누른 상태 에서 아래쪽 아무거나 눌러 보자.. 그러면 여러개가 선택 될 것이다.

 

그리고 풋프린트 선택을 하면 선택된 심볼 이름 옆에 풋프린트 이름들이 선택한 풋프린트로 변경됨이 보인다..

많이 사용하게 될것이니 기억해 두자.

 

선택에 끝났으면 확인을 눌러 빠져 나오고

선택된 부분을 눌러 보자.

 

이런 화면이 뜨는 업데이트 PCB 를 눌러 보자.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오류도 없고 완료 됬다고 나온다.

닫기를 눌러 빠져 나간다.

 

PCB  그리는 화면을 보면

 

뭔가 마우스 커서를 쫓아 다닌다. (회로도 심볼 대응 풋프린트)

 

적당한 곳에 클릭을 해서 배치 시킨다.

이제 그리기 시작인데.. PCB 외각선이 없다.

 

CAD 에서 dxf 파일이 있다면 dxf 파일을 불러와도 된다.

dwg 나 dxf 파일 만들기는 다른 블로그를 참조 하도록 하자..

 

일단 외각선을 그리기 전에 그리드 먼저 정해 주고나서

 

표시된 아이콘을 눌러 보면 마우스 커서가 연필? 로 변경될 것이다.

 

색이 회색 이다.

오른쪽을 잘 보면 Dwgs.User 이라는 곳에 표시가 되어 있다. 색도 회색 이다.

그렇다면 저걸 다른 곳으로 옮기면 된다는 이야기다.

 

지금은 PCB 외각선이니 Edge.Cuts 을 선택 해서 그려보자.

 

간단하게 사각형으로 그렸는데 모서리에 R을 주고 싶으면

표시된 곳을 눌러서 아무데나 눌러 보면

 

이런식으로 나온다.

 

다른 곳을 눌러 보면

 

 

이렇게 나온다.

응용해 보자.

 

모서리 제거는 그냥 사각형을 지우고 R 끝 부분 부터 그릴 수도 있고..

선의 더블 클릭 하면

 

이 수정 화면이 나오는데 ESC 누르고

 

끝점을 움직여 보자.

끌려간다.

 

이렇게 해도 되고, 수정 화면에서 X, Y 수치를 조절 해서 수정 할수도 있고.. 편한 대로 하자.

 

이제 외각선이 그려 졌으니 부품 배치를 한다.

2D Cad 류를 배워 두는 걸 추천 하는데.. 보통 단자 위치가 지정되서 나올수 있다.

단자 모양이 간단하면 상관 없지만 여러개 있고. 모양도 각각 이라면 2D Cad 에서 그려서 또는 보내준 도면을 보고 dxf 로 변환 한뒤 

 

저곳을 클릭하여 불러 오면 된다.

하지만 오류는 존재 한다.

나의 경우 스케일이 맞지 않아서 헤딩한 적도 많아서..

몇번 하다 보면 적응 될 것이다.

 

저 회색 글자가 눈에 거슬리면 (어차피 PCB 실물에는 나오지 않는다)

 

표시한 부분을 선택 해제 하면 된다.

 

패턴을 그려줘야 하니

 

레이어 의 F.Cu 를 선택 하고 표시된 부분을 눌리준 뒤 PAD를 클릭하면

보이는가?

연결 되야 되는 부분이 표시 된다.

클릭해서 연결해 주자.

 

다 됐고 이제 동판을 깔아 줘야 되겠다.

 

표시된 부분을 클릭 하면 아무 반응이 없는데..

적당한 위치에서 다시 클릭하면

 

이런 화면이 뜬다.

Top 면에 작업을 할건지 아니면 Bot 면에 작업을 할건지..

네트 이름은 뭔지..

아무튼 이것 저것 물어보는게 많다.

 

지금 동판 작업 하려는 네트는 +5V 이니까 선택해 주고.. 다른 옵션들은 이것 저것 바꿔 가며 어떻게 나오는지 직접 확인해 보자.

여기서 주의할 점은 Zone priority level 이라는게 보이는가???

이 레벨숫자가 다른 네트 특히 GND 동판을 넓게 설정하는데 이 레벨이 같으면 다른 PAD 를 덮어 버린다..

이점을 유의 하자..

이거 확인 않하고 PCB 발주 내면 버려야 한다..

 

그냥 하기 편하게 사각형으로 했다.

마지막 점에서 더블클릭하면

 

됐고.. 이제 GNDD 남았다.

위와 동일 하게..

 

확인 누르고

 

영역 설정 한 뒤 더블 클릭 하면

 

됐다..

 

 * Zone priority level 확인 할것 *

 

이제 실크를 추가 하자.

 

 

 

레이어 에서 F.SilkS 를 선택 한뒤 표시된 T 를 눌러 보면 역시 아무 반응이 없다.

 

아무데나 클릭해 보자.

 

텍스트는 뭐로 할건지, 레이어는 어디로 할건지.. 크기는 어떻게 할건지 물어본다.

그냥 텍스트만 적어보고 확인을 누르자.

 

GND 를 써서 확인을 누르면 GND 라는 글자가 따라 다니는데 원하는 위치에 두고 클릭 하면 되고 글자를 수정 해야 하면 수정 화면 ('E') 에서 변경 하면 된다.

 

동일 하게 VCC 도 써보자.

 

끝났다.

 

거버를 만들어 보자.

 

표시된 부분을 클릭 하면

 

파일이 출력될 위치를 정해 줘야 되고

아래쪽에 표시한 것은 외각선을 따로 분리 할지 아니면 각각의 거버에 포함시킬지... (맞나?) 를 물어보는 것이다.

왼쪽에 레이어 표는 거버 만들때 단면으로 출력 할지 (패턴이 없어도) 양면으로 출력할지 결정하는 곳이다.

 

지금 하는건 단면이니..

 

내가 필요한건 Top Pattern, Top Silk, Top Mask, 별도의 PCB 외각선 뿐이다.

플로트를 눌러 보자.

 

끝났나 보다.

 

혹시나 비아를 뚫어서 드릴 데이터가 필요하면 닫기 옆에 드릴 데이터 만드는게 있으니 클릭해서 진행 하면 된다.

 

거버 파일이 잘 나왔는지 확인해 보자.

 

 

표시된 부분을 눌러 보자.

 

거버 파일 보는 화면이 나왔다.

 

메뉴의 파일 -> 오픈 거버 파일 을 클릭 하면 해당 폴더를 찾으라고 나오는데..

방금 만든 폴더를 찾아 들어가 전체 선택을 하고 열기를 눌러 보자,.

 

어쩌구 저쩌구 에러가 났네..

몰라. 그냥 확인

 

거버파일 만들기가 완료 되었다.

 

이제 다음시간에는... 별도의 추가 기능 하나만 더 하고 마치도록 하겠다.

 

여기 까지 만든 이유는 여기 저기 뒤져 보니까 Kicad 설치 방법들은 많이 나와 있는데..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려주는 국내 블로그?? 가 잘 보이지 않아서...

 

영어를 좀 하시면 해외 사이트를 뒤져 보시라..

관련 정보가 정말 많다...

 

저 같이 영어도 못하고.. 알려 주는 사람도 없어서.. 영문 동영상(유튜브) 보며 하나씩 따라 해서 알게된 것들도 좀 있다.

 

전에는 CSIEDA 4.0 이라는 툴을 사용했는데.. 윈도우 10 x64 로 넘어 오면서 설치도 않되고. 버그도 많고. 그 버그 때문에 고생도 좀 하고...( 왜 패턴이 지워져???, DRC 체크 하면 비아홀 위치가 왜 변경 되지????? ) 그리고.. 가장 큰건..

오피스 파는 용산 업체에서 찔러 가지고 소프트웨어 단속에 걸려 사장한테 욕먹고 ( PCB 설계 하면서 기구 도면도 같이 그리는데 프로그램은 않 구해 주고... 지랄만 ... 걸린 다음 부터는 CAD 도면은 아예 손 떼서 불량이 나던 말던 신경 쓰지 않았다.) 이런 것들 떄문에 오픈소스 쪽을 알아 보다, 여기 까지 오게 되었다.

 

Kicad 입문자 분들께 약소하지만 조금 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